소비전력 계산기
일반적으로 겨울이 되면, 전기세보다는 난방비가 더 많이 올라갑니다. 난방을 거의 틀지를 않고, 전기장판으로만 생활을 했던적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전기요금이 올라가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겨울은 너무 추웠던 날이 많았기에 난방을 틀지 않으면 안되는 날도 있었습니다. 만일, 난방 대신에 전기를 사용하게 되면, 그만큼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누진세 계산이나 소비전력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이체 또는 고지서만 받아보지 말고, 직접 내역이나 계산법을 알아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기에 소비전력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한국전력공사 사이트로 접속을 합니다.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하면 쉽게 찾아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접속 후 메인페이지의 상단 사이버지점 메뉴의 조회 납부 항목을 선택 또는 중간부분의 요금조회 페이지로 이동을 합니다.
요금계산 비교 항목버튼을 선택하면, 새로운 창이 띄워집니다.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계약종별로 분류되어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하단의 빨간색 우측 전기요금계산기 바로가기 개정후 버튼을 선택합니다.
일반 주택용이라 할지라도 주거를 하지 않고, 사람이 살고있지 않는 창고용으로 사용이 된다거나, 가족의 형태 및 기초생활수급자, 장애 등의 복지할인 여부에 따라서 조건을 선택 후에 사용기간과 사용한 소비전력을 입력하여 계산을 합니다.
사용되는 소비전력에 따라 적용되는 요금 단가가 다르기 때문에 누진세가 적용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반 가정에는 폭탄요금을 맞을 수 있다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일반 가정집에는 누진세가 적용되지만, 일반 사업자용 산업 전기를 사용하게 되면, 누진세 적용도 안될 뿐더러 단가가 일정하여 가정집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점 참고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