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 studio 사용법
요즘들어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과 방송 연예인들도 너도나도 앞다투어 youtube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기존에는 일반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들이나 정보들을 직접 공유하듯 방송을 하면서 즐거움과 재미를 함께하는 채널들이 많았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1인 미디어 시대이기 때문에 자신만의 개성이나 끼, 보여질 것만 있다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개인 방송을 위해서는 간단한 컴퓨터의 지식과 편집프로그램 사용방법 등 몇가지 능력들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일단, 복잡한 것은 둘째 치더라도 실시간 방송만 할줄 안다면, 편집까지는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편집을 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방송시작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개인방송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obs studio 사용법에 대하여 아주 간략하게 준비해보았습니다.
시작에 앞서 장비는 모두 갖추어졌다는 전제하에 시작하겠습니다. OBS studio는 아래의 공식사이트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Open Broadcaster Software의 준말입니다. 쉽게 말해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개인방송용 소프트웨어라고 보면 됩니다. 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본인PC의 운영체제를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중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 애플의 맥 운영체제 그리고 오픈소스방식의 리눅스 운영체제로 분류 된다고 보면 됩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윈도우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windows 버튼을 선택하여 obs studio 설치파일 다운로드를 시작합니다. 그 외에는 본인에게 맞는 운영체제를 선택하면 됩니다.
obs studio 설치파일 다운로드가 완료 후 바로실행을 합니다. 아래와 같이 현재 최신 버전은 OBS Studio 22.0.2버전입니다.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플러그인 옵션 선택 외에는 특별한 사항이 없으니, 계속 다음으로 넘어가면 될 것입니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launch 체크를 하고 실행을 해줍니다.
지금부터 보여드리는 것은 개인방송을 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만 들어갑니다. 실시간 방송을 준비하기 위해서 youtube 크리에이터 스튜디오의 실시간 스트리밍 설정으로 이동하여 스트림 키를 받아와야 합니다. 본인PC의 소프트웨어와 동기화를 시켜주기 위한 코드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이제 이 스트림키를 복사합니다.
실행되어 있는 obs studio의 설정으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두번째 방송탭으로 이동을 합니다. 조금 전 복사하였던 스트림키를 아래의 장소에 붙여넣기를 합니다. 방송연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작업이기에 사용법으로 정한 것입니다. 그 외의 작업들은 스트리밍 설정에 맞는 인코더 방식 선택과 화면프레임 선택 그리고 방송화면 선택만 하면 될 것입니다. 참고로 본인PC의 그래픽카드가 좋을 경우 인코더는 NVENC, 해상도는 1920x1080, 프레임은 30 또는 60으로 설정을 하면 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