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읽기전용 해제
문서작업을 한 후에 저장을 합니다. 그런데 방금 작업한 문서의 중요도가 높아 다른이가 편집을 해서는 안되는 자료일 경우에 파일 자체에 보안 또는 읽기전용을 씌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이때 본인이 직접 하였다면 상관없지만, 누군가에게 전달받은 파일일 경우에 읽기전용 표시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직접 설정을 해야 되는 것은 맞지만, 일반 파일을 열기하고 동일한 파일을 한번 더 열기하면, 이때 두번째 열린 파일은 읽기전용으로 띄워지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한글 읽기전용 해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상단 메뉴의 보안탭으로 이동을 합니다. 다양한 보안형태로 한글에서 문서암호설정, 공인인증서 암호화, 배포용문서저장, 선택글자보호, 개인정보보호 등 암호에 대한 보안설정 방법의 종류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배포용 문서저장으로 해당 파일을 수정할 수 없도록 읽기전용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원본 문서를 작성한 사람만이 알고 있는 암호이니 해제를 하기 힘들 것입니다.
이제 가장 기본적인 단계로, 파일 자체에 읽기전용을 설정해두는 것입니다. 파일탐색기를 열어 저장해둔 한글파일의 위치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파일에서 마우스 우측버튼으로 속성 항목으로 이동을 합니다.
속성항목 창이 띄워지면, 일반탭의 특성에서 읽기전용 체크표시가 된 것과 안된 것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한글 읽기전용 해제 방법은 이렇게 풀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