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퍼센트계산기
물건을 구입하거나 일정한 비용금액에 대한 계산을 해야할 때 계산기를 사용하게 됩니다. 특정값에 대한 % 비율계산 또는 증감형식으로 빠르게 계산을 해야할 때는 일반 계산기로도 할 수는 있지만, 약간의 암산과 번거로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이러한 계산 형식의 틀이 짜여져 있다면, 수치값만을 입력하여 즉시 볼 수 있을때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공학용계산기 또는 엑셀로도 할 수 있겠지만, 수식과 함수를 이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것입니다. 그래서 주로 사용하는 몇가지 간단한 방법을 네이버 퍼센트계산기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임의의 숫자로 고정한 값을 1275000으로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는 얼마? 에 대한 값으로 127만5천원을 예시로 하여 연말정산시 신용카드공제의 50% 기준으로 계산을 해본 것입니다. 여기서 추가적인 내용으로 매년마다 공제율이 조금씩은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보통 카드항목의 신용카드공제 50%, 체크카드공제 30%, 전통시장공제 20% 금액으로 연말정산공제 항목에 합산될 것입니다. 총 200만원 정도의 한도에서 공제되는 비용이라 한도가 정해졌기에 본인이 평소에 분할하여 결제를 할시 총 200만원의 공제금액을 최대한으로 받는데 도움될 것입니다. 많은분들이 이러한점들을 모르고, 신용카드로만 결제를 하기 때문에 혜택을 적게 받기도 합니다. 신용카드로만 아무리 많이 사용해봐야 50% 뿐이 못받기 때문이라는 점 참고하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몇%? 에 대한 값으로 127만5천원을 사용했을 때, 식비로 31만7500원의 지출에 대한 비율계산입니다. 결과값으로 약 25% 정도가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지출결의서 또는 가계부를 정리할 때 비고란 또는 지출계획서 등을 작성할 때 유용할 것입니다.
세번째에 대한 값으로 지난달 127만5천원 지출하였는데, 이번달에 175만원 지출로 증가하였을 경우, 두 값의 차이 47만5천원 및 약 37.3% 증가액을 비율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 증가하면? 에 대한 값으로 127만5천원에 대하여 10% 가 증가하였을 때의 값 140만2500원에 대한 증가값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때는 예상을 해볼때 사용하면 좋기 때문에 내년도 급여인상% 에 대한 비율을 미리 확인하는데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