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의금 부의금 봉투 쓰는 법 살펴둘게요

조의금 부의금 봉투 쓰는 법

주변의 지인들 중에 누군가 사고를 당하여, 혹은 연세들어 고인이 되신 분의 추모를 위해 장례식장을 찾아갈 것입니다. 처음 장례식장을 찾아가본다면, 조금은 어리둥절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검정색 복장의 옷을 입고, 분주하게 돌아다니는 모습들과 서로가 절을 하는 모습들, 그리고 밥을 먹는 모습들을 볼 수 있습니다. 당황스럽기는 하겠지만, 형식과 절차가 있기 때문에 예의를 차리는 순서정도는 알아두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그와 더불어 조의금 부의금 봉투 쓰는 법 또한 알아보겠습니다.

막상 장례식장을 찾아간다면, 미리 부의금을 준비하는데, 보통 가정집에 있는 봉투들은 편지봉투 또는 일반 백지봉투만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 백지 봉투에 직접 글씨를 아래와 같이 문구를 작성해야할 것입니다. 당연히 작성하는 글자에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에 아무 단어나 작성하여서는 실례가 될 수 있으니, 의미도 함께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부의금 준비를 마치고, 도착하여 해야할 장례식장 조문순서입니다. 여기서 잠깐! 만약, 부의금 봉투를 미처 준비하지 못하였다면, 장례식장 입구에는 일반적으로 구비가 되어 있으니 문상을 들어가기 전 미리 챙겨두기 바랍니다. 그 후에 분향소를 찾아서 아래와 비슷한 순서로 예를 올리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아래의 순서는 부의금 전달을 마지막에 하지만, 요즘은 보통 처음 입장을 할 때 조객록 작성과 부의금을 함께 전달하기도 합니다.

장례식장 절하는법으로 남자의 경우 일반적인 명절에 하는 방식의 큰절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여자도 마찮가지로 남자와 같은 큰절을 하면 됩니다. 만약, 여자분이 절하는법을 잘 모르고, 한복을 입업을 때의 반절식으로 하면 결례를 범하는 것이니 주의해야 할 점입니다.

부의금 조의금 봉투 쓰는법은 아래와 같이 봉투 쓰는법이 포털사이트에서도 검색만으로도 찾기 쉽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설명과 종류들이 있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기에 참고하면 좋습니다. 주로 부의라는 문구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집안에 부의금 봉투는 몇장 사두거나, 준비해둘 필요는 없습니다. 당연히 장례식장에 있기 때문입니다.